[기고] ‘외교참사’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지난달 22일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에서 수행원들에게 한 발언이 영상으로 보도했다. 이 보도는 한국과 미국은 물론 세계로 일파만파 번지며 결국 ‘외교참사’로 지목됐다. 윤 대통령은 이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을 훼손했다”고 했다. 사실 필자도 윤 대통령의 해당 발언을 아무리 반복해 들어도 무슨 말인지 알기 어려웠다. 그런데 언론은 이 발언 내용을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은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자막으로 보도했다. 어떻게 ‘바이든’이란 말이 들어갔는지 기상천외의 발상이 아닐 수 없다. 바이든이라는 단어가 한미 간 ‘외교참사’로 번졌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미 의회나 바이든을 언급한 게 아니라, 윤 대통령이 글로벌 펀드에 내기로 약속한 1억 달러를 야당이 날리면 어떻게 하느냐는 취지였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이미 보도로 쏟아진 물, 다시 담기에 어려운 형편이 됐다. 듣고 생각하기 나름이겠지만 아무튼 ‘외교참사’가 아닐 수 없다. 사실 대통령의 표현에 부적절한 부분도 있었지만, 국내문제에 어떻게 바이든 대통령을 대입시켰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가지 않는다. 이런 내용의 보도가 한미외교 문제에 어떻게 작용할지 과연 인지하지 못한 것일까? 취재진 카메라에 담긴 음성파일에 잘 들리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면 한 번쯤 발언자의 의도와 상황 등을 충분히 파악하고 확인하는 것이 정당한 것이 아니었겠는가. 무엇보다 엠바고 요청이 있었다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어떤 의도에서인지 성급한 보도로 윤 대통령이 직접 바이든 대통령을 비하 하는 내용으로 ‘외교참사’가 됐다. 윤 대통령은 확실하게 바이든 대통령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정황상으로 볼 때 아쉬움이 많은 것만은 사실이다. 과연 이러한 보도가 언론 자유의 문제인지 의문이 간다. 정확한 보도라면 언론 자유도 보장될 수 있지만 불분명한 내용을 확인 절차도 없이 자신의 사상과 주관으로 임의 해석 보도한다면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것도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문제인데 말이다. 무엇보다 내용이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야당이 연일 ‘외교참사’로 단정하고 문제 삼는 것이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당정치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정확한 확인도 없이 국익에 관한 외교 문제를 정쟁거리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본다. 이러한 것이야말로 진보와 보수를 떠나 대화로 풀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지난 문재인 정권에서는 어떠했는가. 문재인 전 대통령은 3박 4일 방중 당시 10끼 중 8끼를 혼자 먹었다. 국빈으로 초청받고도 이 무슨 해괴한 일인가. 유럽 순방 땐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에게 “대북 제재 완화가 필요하다”고 개진했다가 마크롱 대통령으로부터 “비핵화 때까지 유지해야 한다”는 면박을 들었다. 유엔의 의결사항을 임의로 요청하는 것은 외교의 결례가 아닌가. 또한 일본과 맺은 정보교환협정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후 “미국도 이해했다”고 했는데, 미국 정부는 “거짓말”이라고 반박했다. 그뿐 아니다. 비행 일정까지 바꿔가며 체코에 갔지만 정작 그 나라 정상은 해외 순방 중이었으니 이것이 ‘외교참사’가 아니고 무엇인가. 국가 간의 문제는 진보와 보수를 떠나 한마음으로 국익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민주당은 언제까지 내로남불로 정치를 하려는가. 언론도 진영을 떠나 국민이 납득할 만한 보도를 해야 신뢰를 받는다. 더 나아가 국가는 든든해지고 국민은 세계 어디에서든 정당한 대접을 받을 수 있다. 이참에 국민도 진실과 거짓을 구별하는 혜안을 가져야 선진국에 걸맞게 국격을 높일 수 있다.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외교참사 주인공 윤석열 대통령 사실 대통령 한미외교 문제